분류 전체보기
-
매매일지 (20.07.27)매매일지 2020. 8. 12. 09:49
매매일지를 떠나 블로그 포스팅은 너무나도 귀찮은 일이다. 8월 중순을 바라보고 있는 이 시점에서 27일 일지를 쓰다니. -매수- 1. 두산퓨얼셀 매수가(수량): 43,300원(1주), 43,200원(1주), 44,400원(2주) > 평균 매수가: 43,825원 / 총 매수 수량: 4주 매수 이유: 뉴딜정책 키워드 중 하나인 수소, 수소 관련 업체 중 두산퓨얼셀이 눈에 띄었다. (사실 예전에 두퓨가 3만원대에 있을 때 산 적이 있었는데 당시 꽤 많이 오르며 높은 수익률을 본 적이 있었다. 그 뒤로 꾸준히 매수, 매도를 반복하고 있다.) 앞으로의 대응: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보이니 일단은 주가가 떨어지면 추가 매수를 해봐야겠다. 2. 두산인프라코어 매수가(수량): 7,650원(8주) 매수 이유: 당시 주..
-
주식 용어 공부 - 차트 용어 1 (일봉, 주봉, 월봉 & 양봉, 음봉)주식공부 2020. 8. 4. 10:26
본격적으로 차트를 공부해보자. 주식을 하는 사람, 주식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차트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을 거라 예상한다. 도대체 차트는 왜 보는 것인가? 주가는 반복하면서 변화하는 속성을 가졌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가를 도식화한 차트를 본다면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기 쉽고 나아가 미래의 주가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차트는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기 위한 좋은 도구라는 뜻으로 해석 가능하다. 주식을 할 땐 궁예가 되어야 하는 구나. 위의 이미지를 보면 차트 위에 '선차트'와 '봉차트'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선차트는 선으로 되어 있는 차트를 의미한다는 건 알겠다. 위와 같이 '선차트 - 1일'을 클릭하면 주가의 흐름이 하나의 선으로 표시되고 있다. 봉차트는 말 그대로 봉(막대기.. 棒..
-
매매일지 (20.07.24)매매일지 2020. 7. 28. 10:28
매매일지를 밀리는 대단한 김짠돌.. 후.. 원래부터 일기, 다이어리 등등에 취약했다.. -매수- 1. 티플랙스 매수가: 4,435 수량: 15주 매수이유 : (1) 거래량 급증 + 상한가 칠 것 같은 느낌 (2) 나도 단타라는 걸 도전하고 싶다는 마음에.. 반성 및 앞으로의 대응 : 구매한지 한 시간도 안돼서 팔았기 때문에 앞으로의 대응은 없다. 오로지 반성만 남았다. (매도란에 기재) 2. 유니온머티리얼 매수가: 4,750 수량: 20주 매수이유 : 1번과 동일하다.. 반성 및 앞으로의 대응 : 유니온머티리얼 역시 반성만 남았다. (매도란에 기재) 3. 삼성제약 매수가: 4,265 수량: 20주 매수이유 : 2,3번과 동일하다. 사실 단타의 시작은 삼성제약이었다. 4. 현대에너지솔루션 매수가: 31,1..
-
매매일지 (20.07.23)매매일지 2020. 7. 24. 11:04
- 매수 - 1. LS (006260) 매수가: 44,650 수량: 4주 (김짠돌은 개미중에서도 최하위 레벨의 개미다.) 매수이유 : (1) 기관이 매도는 안하고 계속 매수만 하고 있어서 '뭔가 있지 않을까'하는 마음에.. (2) 차트를 보니 나쁜 것 같지 않아서.. (3) 투자의견이 좋아서 (4.00 매수) (4) 펀더멘털도 나쁘지 않다. - 네이버 금융 참고 관련 뉴스 : - LS전선은 해저케이블 관련 해외 수주를 열심히 해온 기업이다. (최근 4개월 연속 수주 성공) - 세계 최초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 추가 정보 : - 풍력에너지 테마주에 속하는데 현재 풍력에너지 테마가 핫하다. (대장주는 두산중공업과 태웅) - 하지만 매일 경제 기사 (www.mk.co.kr/news/stock/view/2020/..
-
매매일지 작성법 (매매일지 구성 요소)매매일지 2020. 7. 22. 21:53
주식 공부를 위해 오늘도 유튜브를 뒤적이는 김짠돌은 '매매일지'라는 걸 알게 된다. (알게 된 유튜브 채널은 30만 원으로 30억을 일궈내신 ) 자신의 충동적인 매매습관을 반성하고 자신의 투자성향을 파악하고 나아가 올바른 자신만의 매매기법을 확립하기 위해선 매매일지를 쓰는 습관이 필수라는 내용이었고 충동만 가득한 김짠돌은 그 즉시 매매일지를 어떻게 작성하면 좋은지 찾아 나서게 된다. 가장 먼저 유튜브 채널 를 통해 매매일지에 들어가야 하는 요소들을 알게 되었다. 그 요소들은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날짜 2. 요일 3. 매수 혹은 매도 시간 4. 종목명 5. 매수, 매도가 6. 손익 7. 수익률 8. 종목 변동성 (+ 나는 어떠한 변동 시점에서 매매했는지 / ex. 나의 매도가는 +3%때) 9. 매..
-
주식 용어 공부 - 상한가와 하한가 & 상승과 하락 그리고 보합주식공부 2020. 7. 22. 21:06
다음 금융과 네이버 금융의 메인 카테고리인 "국내" 페이지로 넘어가 보자. 다음, 네이버 금융 서비스의 메인(홈)에서 뉴스 기사만 빠진 느낌이다. 또한, 두 서비스에 공통적으로 코스피, 코스닥 등의 차트와 지수가 상단에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종목, 테마에 관한 등락률이 나와있음을 볼 수 있다. 왼쪽 사이드엔 세부 카테고리가 눈에 띈다. 그나마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던 코스피와 코스닥 쪽으로 가보자. 가장 상단에는 각 시장의 지수가 나와있다. 지수는 코스피 때 정말 잠깐 언급만 했었는데 저 공식으로 구한 수를 의미한다. 지수에 대한 내용을 살짝 덧붙인다면.. 1980년 1월 4일의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다 한다. 기준 지수는 100으로 오늘 기준 코스피 지수가 2,228.66이니 약 22배 성장..
-
주식 용어 공부 - 코스닥주식공부 2020. 7. 19. 22:11
일단 코스피의 뜻은 파악했다. 시간, 시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현재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지표라는 뜻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직까진) 그렇다면 코스닥은 뭘까?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지표는 하나면 되는 거 아닌가? 다시 사전적인 의미를 파헤쳐 본다. 이제 뭔가 혼란이 오기 시작한다. 아래는 내가 느낀 혼란(궁금증) 들이다. 1. 우리나라의 장외 증권 시장> 코스닥이 장외 증권이라면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볼 수 있는 지표인 코스피가 장내 증권 시장이겠지? 근데 왜 코스피 뜻풀이에는 그런 말이 없었지? 정확하게 장내 증권은 뭐고 장외 증권은 뭐지? 2. 증권 거래소 시장> 이 시장에서 거래되는게 코스피와 연결되나? 3. 벤처 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중심> 코스닥은 일단 컨셉이 있다는 뜻인가? 코스피도 그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