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식 용어 공부 - 코스피
    주식공부 2020. 7. 14. 23:42

    본격적으로 주식을 시작하기 전 간단한 용어를 알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아 본 포스팅을 준비했다. 아주 낮은 난이도(어쩌면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는)의 용어들이니 이 글을 읽는 많은 분들이 실망하겠지만.. 하나씩 하나씩 주식 관련 지식을 쌓고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주식일기> 카테고리를 만들었으니 이해해 주길... (다시 한 번 얘기하지만 난 주식의 ㅈ도 잘 모른다.)

     

    어떤 용어를 가장 먼저 다뤄야 하나 고민이 많았다. 매수, 매도? 그전에 주식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는 서비스를 보는 건 어떨까? 뭘 알아야 주식을 사고 팔 마음이 생기지 않을까?

     

    네이버 금융 첫 페이지. 복잡복잡하다. 
    다음 금융의 첫 페이지. 지수와 뉴스가 눈에 들어온다.

     

    위의 두 이미지는 우리나라의 대표 포털(다음,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주식 관련 서비스의 메인 페이지이다. 네이버는 작은 페이지에 많은 정보를 담았고 다음은 비교적 적은 정보가 담긴 것 같다. 그나마 가장 주식과 관련된 정보에 쉽게 도달할 수 있는 두 서비스를 캡쳐했다. (만일 이 두 곳보다 더욱 접근성이 높은 서비스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아무래도 두 이미지에서 가장 눈에 들어오는 건 역시 그림... 네이버에는 코스피 지수가 눈에 들어오고 다음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눈에 들어온다. 사실 뉴스만 봐도 아니 그냥 살아가면서 코스피와 코스닥을 많이 접하게 된다. 코스피가 올랐다, 내렸다부터 그 회사가 코스닥에 상장한다더라 등등..

     

    그렇다면 코스피와 코스닥은 정확하게 뭘 의미하는 것일까?

     

    1. 코스피 (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사전적 의미: 증권 시장에 상장된 상장 기업의 주식 변동을 기준 시점과 비교 시점을 비교하여 작성한 지표. 종합 주가 지수라고도 한다. 

     

    사전적 의미만 보았을 땐, 증권 시장에 등장하는 기업들의 주식 변동 (주식의 가격이겠지?)을 시간별로 비교해서 그래프로 그렸다는 뜻으로 해석이 된다. 조금 더 깊게 들어가 보자.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주식시장의 전체의 주가를 비교했다고 한다. 또한, 이 지수는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총체적으로 보여준다고 한다. 

     

    당연한 이치겠다만 경제가 좋아지면 회사, 기업들도 좋아질 테고 그러면 주가가 오를 테니 역으로 생각하면 주가가 올라갔다고 하면 기업들의 상황이 좋다는 얘기가 될 수 있고 그렇다면 경제도 전반적으로 좋아졌다는 의미겠구나. (물론 예외란 있을 것이다. 언제나 그랬듯) 

     

    그렇다면 항상 코스피 지수가 상승했다고 뉴스에서 나오는 얘기는 경기가 좋아졌다는 얘기로 (정말 단편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거군. 

     

    코스피야 올라가라! / 출처 - 구글에서 막 퍼옴...

    매일경제용어사전에서 확인한 바로는 투자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척도, 경제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된다고 한다. 단순히 코스피가 올랐다고 경제가 좋다! 이 말이 아니라 다가올 경제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는 뜻이구나. 

     

    그리고 코스피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KOSPI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100

     

    일단 공식부터 나오면 인상 구겨지는..?

    대략적으로 코스피가 감이 잡힌다. 그렇다면 코스닥은 뭘까? 

    댓글

Designed by Tistory.